금 중량 계산하는 정확한 방법과 순도별 무게 환산법

집에서 금 무게 재는 게 생각보다 까다로운 이유


금반지 하나 팔려고 저울에 올려봤더니 정확한 무게를 알기가 어려워요. 전자저울이 0.01g 단위까지 측정 가능해야 하는데, 대부분 주방용 저울은 1g 단위라서 소량의 금은 제대로 안 나와요.


게다가 18K니 14K니 하는 순도 표시가 있어도 실제 순금이 얼마나 들어있는지 계산하려면 복잡한 공식을 써야 해요. 예를 들어 10g짜리 18K 금반지의 실제 순금량은 7.5g밖에 안 돼요. 18K가 75% 순도거든요.


한국에서만 쓰는 '돈' 단위도 헷갈리는 부분이에요. 1돈이 3.75g인데, 금방에서는 아직도 이 단위로 거래하는 경우가 많아요.


물에 담가서 비중 측정하면 진짜인지 알 수 있어요


금의 밀도가 19.3g/cm³라는 특성을 이용하면 도금 제품을 구별할 수 있어요. 먼저 공기 중에서 무게를 재고, 그다음 물속에 완전히 담근 상태에서 무게를 재요.


비중 계산은 공기 중 무게를 (공기 중 무게 - 물속 무게)로 나누면 돼요. 순금이면 19.3에 가까운 수치가 나오고, 도금이나 가짜는 훨씬 낮은 값이 나와요.


사실 이 방법도 정밀 저울이 있어야 정확해요. 집에서 대충 해보면 오차가 커서 믿기 어려울 수 있어요. 그래도 손으로 들었을 때 같은 크기인데 유독 묵직하다면 진짜일 가능성이 높아요.


금 함량별로 실제 가치가 달라지는 이유


24K는 거의 순금이라 전체 무게가 곧 금 무게예요. 하지만 18K는 75%, 14K는 58.5%만 금이고 나머지는 구리나 은 같은 다른 금속이에요.


금방에서 거래할 때는 이런 식으로 계산해요. 전체 무게에 함량을 곱한 뒤 3.75로 나누면 '돈' 단위가 나와요. 20g짜리 14K 목걸이라면 (20 × 0.585) ÷ 3.75 = 약 3.12돈이 되는 거예요.


국제 거래에서는 트로이 온스를 쓰는데, 1트로이 온스가 31.1035g이에요. 일반 온스(28.35g)와 달라서 헷갈리기 쉬워요.


전문 감정소 가기 전에 집에서 확인하는 방법


자석 테스트가 제일 간단해요. 순금은 자석에 붙지 않거든요. 도금 제품은 속이 철이나 니켈일 수 있어서 자석에 반응해요.


각인도 확인해보세요. 진짜 금은 14K, 18K, 24K 같은 각인이 있고, 도금은 GP(Gold Plated)나 GF(Gold Filled) 표시가 있어요. 물론 가짜 각인도 있을 수 있으니 너무 믿지는 마세요.


오래된 도금 제품은 모서리나 자주 닿는 부분의 색이 벗겨져 있어요. 진짜 금은 아무리 오래돼도 색이 변하지 않아요.


결국 정확한 감정은 전문가에게 맡기는 게 제일 확실해요. 집에서 하는 테스트는 참고용으로만 생각하시면 돼요. 특히 비싼 금을 거래할 때는 꼭 정식 감정서를 받으세요.




닛케이225 사상 최고치 자사주 매입 10조엔이 만든 일본 증시 대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