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b3 개발자들이 감옥에 가야 하나요? 코드 한 줄의 무게

토네이도 캐시 개발자가 유죄 판결을 받았어요. 사무라이 월렛 창업자들도 법정에 섰고요. 그들이 만든 건 단순한 코드였는데, 결국 범죄자가 되었네요.


검은 배경에 초록색 소용돌이 모양의 토네이도 캐시 로고와 텍스트


코드를 짰을 뿐인데 왜 처벌받나요?


로만 스톰은 토네이도 캐시라는 암호화폐 믹서를 만들었어요. 사실 그가 한 일은 오픈소스 코드를 깃허브에 올린 것뿐이에요. 근데 이 프로토콜을 통해 10억 달러가 넘는 불법 자금이 세탁됐다고 해요.


법원은 흥미로운 판결을 내렸어요. 코드 자체는 중립적이고 누구도 소유하지 않는다는 걸 인정했어요. 그런데도 개발자에게는 책임을 물었죠.


이상하지 않나요? 칼을 만든 대장장이가 살인죄로 처벌받는 격이에요.


사무라이 월렛도 비슷한 운명을 맞았어요. 비트코인 거래를 익명화하는 지갑 서비스를 만들었을 뿐인데, 1억 달러 규모의 자금세탁 혐의로 유죄를 인정해야 했죠.


프라이버시 기술이 왜 범죄 도구가 되었을까요?


원래 이런 도구들은 금융 프라이버시를 지키려고 만들어졌어요. 내 거래 내역을 남들이 훔쳐보지 못하게 하는 거죠. 마치 현금처럼요.


하지만 규제당국은 다르게 봤어요:


  • 테러 자금 조달에 쓰일 수 있다
  • 마약 거래 대금 세탁이 가능하다
  • 북한 해커들이 훔친 돈을 숨길 수 있다
  • 탈세와 자금 도피에 악용된다


실제로 토네이도 캐시는 북한 해커 그룹 라자루스가 애용했다고 해요. 이런 사실들이 법정에서 개발자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했죠.


그런데 말이에요, 인터넷도 범죄에 쓰이고 자동차도 은행 강도 도주에 쓰이잖아요?


개발자들이 선택할 수 있는 길


이제 Web3 개발자들은 딜레마에 빠졌어요. 혁신적인 기술을 만들고 싶지만, 감옥에 가고 싶지는 않으니까요.


몇 가지 전략이 보이기 시작했어요.


해외 이전이 늘고 있어요. 싱가포르나 두바이, 스위스처럼 규제가 우호적인 곳으로 회사를 옮기는 거예요. 실제로 많은 크립토 기업들이 미국을 떠나고 있죠.


완전한 익명 개발도 늘어났어요. 개발자 신원을 아예 숨기는 거죠. 비트코인을 만든 사토시 나카모토처럼요. 물론 이것도 완벽한 해결책은 아니에요.


법률팀을 먼저 꾸리는 경우도 많아졌어요. 코드 한 줄 쓰기 전에 변호사부터 만나는 거예요. 좀 웃기긴 하지만 현실이에요.


Web3 혁신은 정말 죽어가고 있을까요?


표면적으로는 위축되고 있어요. 프라이버시 관련 프로젝트는 확실히 줄었고요. 개발자들이 "이거 만들다가 잡혀가는 거 아니야?"라고 걱정하니까요.


하지만 다른 시각도 있어요.


오히려 이런 사건들이 Web3를 더 성숙하게 만들고 있다는 거예요. 무법지대였던 생태계에 질서가 생기고, 책임감 있는 개발 문화가 자리 잡는다는 긍정적 해석도 가능해요.


실제로 최근 Web3 프로젝트들은 KYC나 AML 기능을 처음부터 넣고 있어요. 규제를 피하려 하지 않고 포용하는 방향으로 가는 거죠.


그래도 씁쓸한 건 사실이에요. 탈중앙화와 검열 저항성이라는 Web3의 핵심 가치가 흔들리고 있으니까요.


코드의 중립성은 환상일까요?


법원의 판결은 명확했어요. 코드가 아무리 중립적이어도, 그 결과에는 책임이 따른다는 거예요.


이건 꽤 철학적인 문제예요. 기술 자체는 선도 악도 아니에요. 하지만 그 기술을 만든 사람은 결과를 예측할 수 있었고, 따라서 책임도 져야 한다는 논리죠.


개발자 커뮤니티는 반발하고 있어요. "우리는 단지 도구를 만들었을 뿐"이라고요.


하지만 규제당국은 다르게 봐요. "당신들이 만든 도구가 명백히 범죄에 쓰일 걸 알았잖아"라고 하죠.


이 논쟁은 쉽게 끝나지 않을 거예요. Web3가 계속 발전하는 한, 기술과 법의 충돌은 계속될 테니까요.


개발자들이 창의성을 포기하지 않으면서도 법적 리스크를 관리하는 방법을 찾아야 해요. 쉽지 않은 길이지만, Web3의 미래가 걸린 문제예요.


혹시 여러분이 Web3 개발자라면, 어떤 선택을 하시겠어요?



맨틀 네트워크가 만드는 새로운 블록체인 금융, 어떻게 일상으로 들어올까요?